안녕하세요 온세이프티 입니다.🫡
오늘도 안전하세요!
산업재해 관련해 위험성평가가 주목을 받고 있죠.
실제 중대재해 위반 사례에서도 항상 언급되는 위험성평가는 이전부터 시행되고 있었으나
재해예방 및 안전보건에 무게가 실리며 의무화가 진행되어 이제는 반드시 진행해주셔야 하는 사항이 되었답니다.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 행복한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산업안전 선진국으로 도약하고자 26년까지 사고사망만인율을 0.29퍼센트로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실제 21년도부터 사고사망만인율 0.43으로 시작했지만 26년 목표치로 0.29까지 축소하기 위해 책임성, 현장성, 혁신성의 3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사고를 줄여 안전한 일터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큰 방안을 발표했죠.
1. 위험성평가 중심의 자기규율 예방체계 확립
가장 많이 보이는 단어죠. 위험성평가와 자기규율 예방체계는 이번 목표와 함께 모든 사업장에 필요한 사항이라 볼 수 있습니다.
재해 예방과 재발 방지를 위한 핵심수단으로 기존 시행하던 위험성평가를 개편하고, 자기규율 예방체계 뒷받침을 위한 감독행정, 법령이나 기준을 정비 하는 것을 목표로 삼은 만큼 위험성평가는 절대 빼놓을 수 없는 항목이 되었죠.
2. 중소기업 등 중대재해 취약분야 집중지원 및 관리
50인 미만의 중소기업에게 집중지원을, 건설·제조업 72.6%에게는 스마트 기술·장비를 중점으로 지원하며 추락, 끼임, 부딪힘 등 8대 요인 현장중심으로 특별관리를 진행하며 산업구조 및 기후변화에 대비, 원하청 상생협력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3. 참여와 협력을 통한 안전의식·문화 확산
근로자의 안전보건 책임과 참여를 강화하고 안전문화 캠페인을 확산시키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 현장중심 안전보건교육 강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4. 산업안전 거버넌스
전문기관 간 연계로 협업, 응급치료 비상황에도 차분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응급의료 비상상황 대응체계, 중앙-지역 협업·거버넌스 등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위험성평가 중심의 자기규율 예방체계는 무엇일까?
노·사가 함께 스스로 위험요인을 진단·개선하는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예방 노력에 다라 결과에 책임 지는 자기규율 예방체계로 패러다임을 전환했습니다.
1. '위험성평가' 제도 개편, 자기규율 예방체계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2. 사업주와 근로자가 함께 산업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찾고 유해·위험요인을 통제 할 수 있는 간소화된 다양한 위험성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보급합니다.
3. '위험성평가' 현장 정착 지원을 위해 법령·기준 체계 정비를 추진하고 있죠.
이후 포스팅에서는 자기규율 예방체계 및 위험성평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오늘도 안전하세요!
'위험성평가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세이프티의 위험성평가 컨설팅 (0) | 2023.08.12 |
---|---|
온세이프티가 알려주는 자기규율 예방체계3 (0) | 2023.08.08 |
온세이프티가 알려주는 자기규율 예방체계2 (0) | 2023.07.25 |